새로운 아트위키를 열었습니다.

돌과 땅

(구)아트위키, 한국어판 창작아카이브
Admin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2년 9월 30일 (일) 09:46 버전

{{#TwitterFBLike:|small|like}}

돌과 땅
돌과 땅.jpg
전시 정보
타이틀 돌과 땅
창작인 구인회, 김계중, 김성윤, 더아웅다웅스, 미디어버스, 병1신들, 사진아카이브연구소, 서원선, 우아름, 윤지원, 워크온워크, 이수성, 조은
시작일 2012년 8월 24일
종료일 2012년 9월 30일
기획자 윤지원
형태 그룹전
장소 공간 꿀
웹사이트 http://stoneandland.tumblr.com
QR QR-489cb23c8550ec75f9d455bd0761e01d.png

<돌과 땅>은 2012년 8월 24일부터 9월 30일(추석 연휴를 제외하면 9월 28일)까지 공간 꿀에서 열린 기획전시이다. 윤지원이 기획하였으며 구인회, 김계중, 김성윤, 더아웅다웅스, 미디어버스, 병1신들, 사진아카이브연구소, 서원선, 우아름, 워크온워크, 이수성, 조은이 참여했다.

공간 꿀에서 선보이는 개별 작업들은 모여서 또 다른 의미군을 형성한다. 여기에 참여하고 있는 비-현대미술가인 참여자들의 작업은 미술 아닌 미술로서, 이른바 '미술계'의 창작 기반과 인정 체계에 작업의 운명을 맡기지 않는 전문적 창작 행위다. 이는 오늘날 현대미술의 전제조건들과 경계들을 부분적으로 드러낸다. 이를 통해 우리가 접하고 있는 현대미술의 전제 조건들을 의심하는 동시에, 우리가 상상하지 못하는 방식으로 재편될 앞날의 미술에 대한 상을 그려 볼 단초들을 제공해보고자 한다. 전시 참여 작가로 쉽게 보지 못할 이들이 작가 역할을 하고, 평소 현대미술의 맥락에서 작업을 선보이는 이들이 전시를 구성하는 데 필요한 역할을 소화해냈다. 모종의 역할놀이가 섞여든 이 전시는 현대미술가 윤지원이 기획했다. - <돌과 땅> 소개글

목차

참가자의 역할 및 출품

전시 배치

1층

돌과땅 배치도 1층.jpg

2층

돌과땅 배치도 2층.jpg

  • 8. 서원선 (맨 왼쪽에서부터)
    • < I like Salmon > 종이접기와 크리스 패턴, 2012
    • <투쟁> 종이접기와 크리스 패턴, 2012
    • <Spirit> 종이접기와 크리스 패턴, 2012
    • <모정> 종이접기와 크리스 패턴, 2012
    • <순환> 종이접기, 2012
    • <비상> 종이접기, 2012
    • <교감1> 종이접기, 2012
    • <교감2> 종이접기, 2012
  • 9. 조은/박경태 <사당동 더하기22> 싱글채널 비디오, 82분, 2009
  • 9. 김계중 <대일 프로젝트> 싱글채널 비디오, 62분, 2007
  • 10. 조은/조옥라/조혜란/홍경선 <사당동 연구현장에서 찍은 사진들> 1986-1991
  • 워크온워크 <무엇이 전시를 만드는가?> 전시장에 부착한 다수의 QR코드 문서, 2012
  • 더아웅다웅스, 오프닝 공연 <야구방망이로 말괄량이를 쳐라> 출연:병1신들
  • 이수성, 공간디자인 및 가구 제작

상영시간표

  • 모니터에 두 개의 영상을 번갈아가며 상영했다.
  • <사당동 더하기 22> 82min, 12:40/ 15:20/ 18:00/ 20:40
  • <대일 프로젝트> 62min, 14:10/ 16:50/ 19:30

전시 기획당시의 계획

비평

리플렛/안내책자

<돌과 땅> 전시는 안내책자를 제작하지 않았으며 전시장에 전시 취지와 참여한 창작인/창작물에 대한 소개 문서와 전시배치 안내 문서 각각 1부를 비치하였다.(A4사이즈)

출품작 이미지

관련링크

오프닝행사

오프닝 전경

트리비아

  • 오프닝 행사 당시 비가 왔음에도 불구하고 전시장 밖에 많은 이들이 있었다.
  • 전시기간 동안 두 번의 태풍이 있었다. <파괴된 안국역 대피도("돌과 땅"을 위한 이미지)>가 날아가지 않을까 하는 여러 사람들의 우려가 있었으나 전시를 마치는 날까지 사고없이 잘 견뎠(?)다.
  • 전시소개글이나 플라이어에서 유난히 현대미술, 현대미술가라는 용어가 많은데 이는 이 전시가 주목하는 부분을 보여주는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Admin
  • 기획자/참여작가의 관계가 아닌 하나의 사건에 "개입"하는 형태의 전시로서 의의를 찾을 수 있을 듯. --Admin

  1. 인터뷰를 보면 서원선은 공예와 예술을 위계적 관계로 이야기 하고 있다. "아직 종이접기가 취미에서 공예로도 가기 힘든 상황이에요. 예술까지 가기엔 아직도 갈 길이 멀어요."(인터뷰)
0000년 태어남  1957년 태어남  1980년 태어남  1981년 태어남  1983년 태어남  1985년 태어남  1986년 태어남  1987년 태어남  2002년 열린 전시  2003년 열린 전시  2005년 열린 전시  2007년 열린 전시  2008년 열린 전시  2010년 열린 전시  2011년  2011년 열린 전시  2012년  2012년 열린 전시  2013년 열린 전시  4월  9월  개인전  개인전프로젝트  개인전프로젝트/2012  개인전프로젝트/2013  개최년도별 전시  갤러리  거주지별 인물  경기거주  경복궁인근  관리용  광주  교육기관  국립  국립/공립/사립  국민대  국민대/회화전공  국민아트갤러리  그룹전  그림재료  기법  기타재료  김도명  까페갤러리  날짜  뉴욕거주  달력에 관한 틀  대림미술관  대문  대안공간  대학  대학교  대학전시  대학행사  도구  도움말  동덕아트갤러리  레이아웃  레지던시  리플렛  목록  문화공간  미국거주  미술관  미술학부  미학자  박물관  복합문화공간  복합문화공간 에무  부산  비평가  사립  사이트  삭제요청인물을 포함한 문서  서울  서울거주  아트맵  아트선재센터  아트위키  아티스트  안현숙  어휘  엑셀VBA  요기가표현갤러리  용어  운영주체별 장소  유형별 장소  인물  인천거주  작가의 지역  장소  재료  전시  전시소식  조각  조소재료  졸업전시  주요뉴스  지역  지역별 장소  직업별 인물  참여인원별 전시  창작용어사전  창작인  출생년별 인물  큐레이터  특수 효과용 틀    페인팅  평론  플레이스막  학술제  학술행사  홍대인근  홍익대  활동 지역  활용장르명  회화  회화전공  효과틀